삶과 나/동 식물 관련 20

초목본 덩굴식물 climbing plant 3-3

** 요즘에와서 인간에게 반려동물과 같은 역활을 해준다는 것에 착안하여 반려식물이란 용어가 쓰이고 있다. 공기정화 , 인테리어, 약용, 특별한 요리에 첨가하기 등을 위해 식물을 기르는 사람이 늘어나자 식물을 직접 가꾸고 기르며 서로 교감하는 가운데 함께하는 조용한 식물로 부터도 마음에 안정을 찾거나 위안을 얻는 기회를 많은 사람들이 접할 수 있어서 이기도 하지만 , 사실 서양에서는 창문이 유리로 대체되면서 집밖이 아닌 집안에 식물을 기르는 일이 심신양면의 정신건강에도 무척 도움이 되는 사실이 이미 인정되어 상류사회에서는 주말에 취미가들을 중심으로 꽃시장을 주기적으로 여는 행사를 열어 왔고 지금도 이와같은 행사는 지속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물론 중국및 조선사회 에서는 사대부의 여기로 매란국죽을 즐겨 배양..

초 목본 덩굴식물 climbing plant 2-3

** 덩굴식물의 줄기 형태는 다양한다. 다래, 나팔꽃 등 줄기 자체가 물체를 감으면서 자라는 '감는줄기', 머루, 마삭줄 등 줄기 자체가 아닌 별도의 덩굴손이 발달해 다른 물체를 잡고 '기어오르는줄기' , 덩굴장미 , 송악 등 가시, 부착뿌리 등을 내어 다른 물체에 부착하여 자라는 '기어오르는줄기', 고구마, 쇠비름 등 감거나 지탱하지 않고 지표면을 따라 누워서 자라는 '기는줄기' 등이 있다. 특히 덩굴손은 덩굴의 줄기를 지탱하게 해주도록 발달된 식물기관이며, 크게 줄기가 변한 것과 잎 또는 그 일부가 변한 것이 있다. 덩굴손은 줄기마디에서 나오며, 덩굴식물이나 다른 식물들이 이를 이용하여 타고 올라갈 수 있다. 모든 덩굴식물이 아닌 일부 식물에게만 덩굴손이 있다. 예를 들면 '갈등'이란 말의 어원이 되..

초목본 덩굴식물 climbing plant 1-3

** 일전에 지상을 가득 매우며 걱정이 태산처럼 쌓이게 한 넝굴식물이 칡이었다. 칡 망국론까지 나왔었다. 최근에는 한강변을 따라 식물계를 평정하다싶이 한다고 떠들썩하게 지상을 장식한 넘이 가시박이었다. 물론 지금까지도 왕성하게 번식하고있다. 공무원까지 제거에 동원하고 있으니. 칡만하더라도 60년대까지는 우리생활에 없어서는 않되는 중요한 자산용품 식물이었다. 조금만 뒤로 돌아보면 칡이 없었다면 무었으로 대체했을까 한참 생각하여야만 할 만큼 좋은 넘이었다. 숲은 아는만큼만 보인다고한다. 들판이나 숲에 길이 뚥리고 강변처럼 바람길이 난 곳에는 당연히 넝쿨식물이 많이 자란다. 지난 2년간 정주했던 청평,가평만해도 온 산야에는 다레덩굴로 나무들이 힘겨워하는 것을 봤다. 칡의 경우는 우선 목을 자르고 약을 주입하고..

초봄에 피는 꽃과 전설

** 야생화가 찬바람이 계속해서 머무는 이른 봄에 피는 데는 이유가 있다. 그것이 들판도 아니고 계곡이 있는 높은 키나무가 많이 모여서 서식하는 지역이기에 풀꽃이 살기에는 실질적으로 큰 나무의 녹음이 짙게 드리워져 연 중 햇볕을 받기가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된다는 점이다. 햇볕을 쬐이지 못하면 탄소동화작용하여 태양의 에너지를 축적하지 못하게되어 자손을 퍼트리는 것은 고사하고 자신도 살아남는 것이 지난하게 된다. 더해서 풀이면서 같은 장소에서 여러해를 살아가야 하는 데 연약한 풀로서 산 짐승들에게 띁어 먹히게 되면 더욱 살아남기 어려운 처지가 된다. 그래서 이런 종류의 야생화는 먹히기에 부적합하도록 줄기가 쓰거나 독기를 품게된다. 더해서 상록수가 자생하더라도 떨기잎나무가 많이 섞여 있는 산림하에서 아직 나..

귀여운 야생동물 겨울나기

** ** * 우리 주변에 사는 야생 동물들 겨울나기 어제 대설이 지나갔으니 금년 동지까지 딱 2주 남았다. 요즘 해거름이 빠르고 땅거미가 일찍 내려와 17시 정도면 해넘이를 빠듯하게 보면서 퇴근한다. 오늘은 우리주변에 야생으로 겨울나기를 하는 귀여운 동물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싶다. 한편으로 우리가 잘못 알고 있거나 잘 모르는 이들이 계셔, 애들 생태를 살펴보며 우리들이 왜 반성해야 하며 생활하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잠시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 보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 우리 주변에서 알게 모르게 살아가는 동물이 있는데 익숙한 이름은 포유류 : 다람지, 청설모, 들고양이, 삵, 족재비, 고라니, 맷돼지 조류 : 어치, 박새, 직박구리, 곤줄박이, 까치, 까마귀, 참매 양서류로는 개구리(청-, 무..

진화적 측면에서 본 공룡의 후예(새)들의 짝짓기

** ** * 시간을 내서 산책길을 걷다 보면 차도를 횡단하는 육교 위를 지나는 경우가 많다. 육교에서 좌우에서 가장 많이 눈에 띄는 가로수 수종인 날씨가 추워져 노랗게 단풍이든 은행나무들이 길 따라 멀리까지 이어져있는 행렬이 보인다. 최근에도 개량된 알이 굵고 수확이 빠른 배양된 종묘를 심는 경우 외는 대부분 꺽꽂이 해서 키운 것을 식재한다 왜냐하면 은행나무는 수확(식재후 15~20년 후) 시기가 너무 먼 점도 있지만 씨뿌림해서는 잘 자라지도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나무 종자에 따라서는 숙주 동물의 내장을 거쳐야 제대로 성장하는 것들이 종종있다. 가장 쉬은 예가 겨우살이인데 약재로 수확하려고 잘 익은 열매를 따서 숙주나무에게 붙여 놓아봐도 새 내장을 통과하지 않은 씨앗은 발아도 잘 않된다. 넓은 차도를..

인류의 진화 (추석연휴에 함께 보는)

** ** 피아노를 치던 문과 고등학생이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 진학했다. 4년 동안 ‘삽질’을 하고 미국 미시간 대학 인류학과 석·박사 과정을 밟았다. 해부학·운동역학·생물학·통계학 수업을 닥치는 대로 들었다. 주어진 문제를 자료를 통해 대답할 수 있는 것으로 재정의하는 ‘과학적 사고’를 훈련받았다. 2001년부터 캘리포니아 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류 성차, 두뇌 용량 변화, 노년기 등을 연구했다. ‘한국인 고인류학 박사 1호’ 이상희 교수 얘기다.(2016.8.1. 시사In 446호) 교수는 2016년 펴낸 〈인류의 기원〉으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캘리포니아 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 인류학과에 재직 중인 이상희 교수 ‘인간다움’이 어느 때보다 화두인 지금, 고인류학의 ..

기생충 Parasite

** ** 기생충(패러사이트) 우한 발 사태를 일으킨 코로나바이러스는 3만 개 정도의 염기로 구성된 RNA형 유전물질이 왕관 모양의 독특한 돌기를 가진 둥근 단백질 속에 들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농경을 시작한 1만여 년 전에 사육하던 개 소 돼지 말과의 밀접한 접촉을 통해 인류에게 토착화된 인수공통 전염병으로 야생동물을 식용 약용으로 사용하던 인류에게 피할 수 없는 숙명적인 전염 병원체이다. 이 바이러스는 1960년대 전자현미경을 통해 닭의 가건물에서 처음 그 모습이 발견되었다. 사람에게 두통 인후염 기침을 동반한 일반 감기를 일으키는 이 바이러스는 주로 침방울이나 배설물을 통해 확산되는데 돌기의 세부적 특성에 따라 감염성과 증상이 크게 달라진다고 한다. 바이러스의 정체도 알지 못했던 인류가 지금..

참매에 대해

** ** 참매 Accipiter gentilis Northern Goshawk 유라시아대륙과 북아메리카에 걸쳐 폭 넓게 분포하는 흔한 겨울철새이며 나그네새다. 10월 초순에 도래해,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드물게 번식하는 텃새이기도 하다. 수릿과의 새로, 몸의 길이는 48~61cm(수컷 50~52cm, 암컷 57~58cm)이며, 등과 날개는 어두운 잿빛이고 배는 희며 꽁지에는 어두운 빛깔의 가는 가로띠가 있다. 특징은 새매와 비슷하지만 보다 크다. 몸 윗면은 어두운 청회색, 명확한 흰 눈썹선이 있다. 몸 아랫면은 흰색에 흑갈색 가는 줄무늬가 있다. 꼬리가 길다. 날개가 짧으며 폭이 넓다. 꿩이나 토끼 따위의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한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벼과 식물에 관해

** * ** 벼과식물에 관하여 인류의 중요한 식량자원에 포함됨과 동시에 가장 많은 잡초가 포함된 식물 분류군으로 외떡잎 식물강(monocots) 단자엽식물의 한 목인 벼목(poles)으로 분류가 되는 풀이다. 다시 말하면 떡잎이 한 장 나는 속씨식물(미분류)에 속하는 한 식물군이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벼목에 속하는 풀은 1억 1,500만년 이전경에 남아메리카에서 기원했다고 한다. 알려진 화석 가운데 가장 이른 것은 꽃가루와 열매가 있는 후기 백악기 (약 8,300만년전)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벼과로는 전 세계적으로 714속 11,307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벼아과로는 크게 물대아과(갈대, 물대,), 대나무아과(대나무, 벼,), 기장아과 (기장, 수수,), 나도바랭이아과(바랭이, 잔디,), 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