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전에 지상을 가득 매우며 걱정이 태산처럼 쌓이게 한 넝굴식물이 칡이었다. 칡 망국론까지 나왔었다.
최근에는 한강변을 따라 식물계를 평정하다싶이 한다고 떠들썩하게 지상을 장식한 넘이 가시박이었다.
물론 지금까지도 왕성하게 번식하고있다. 공무원까지 제거에 동원하고 있으니.
칡만하더라도 60년대까지는 우리생활에 없어서는 않되는 중요한 자산용품 식물이었다.
조금만 뒤로 돌아보면 칡이 없었다면 무었으로 대체했을까 한참 생각하여야만 할 만큼 좋은 넘이었다.
숲은 아는만큼만 보인다고한다. 들판이나 숲에 길이 뚥리고 강변처럼 바람길이 난 곳에는 당연히
넝쿨식물이 많이 자란다. 지난 2년간 정주했던 청평,가평만해도 온 산야에는 다레덩굴로 나무들이
힘겨워하는 것을 봤다. 칡의 경우는 우선 목을 자르고 약을 주입하고 그냥 나두면 사람들이 컈가서
위험하다 라벨을 붙여놓아야 할 판이었다. 칡뿌리는 보면 그냥 캐가려한다.
어떻게 보면 산야의 해충을 없앤다고 공중살포한 살충제 덕분에 약에 내성을 지닌 넝쿨이 무섭이 자라고
반대로 익충들이 몰살 당하는 경우가 많았던 과거의 결과이기도 하다고 생각한다.
초본이든 목본이든 인간을 제외하면 식물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일꾼이 곤충들이라고 생각한다.
항시 그 식물을 숙주로 생활하는 곤충이 반드시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곤충을 살포로 몰살시키는 것을 자제하면 해답을 찾을 수있다고 생각한다.
덩굴식물은 그 생태가 다양하다. 숙주식물에 전적으로 기생하는 넘, 아예 뿌리를 박고 올라가는 넘
좌로 혹은 우로 돌면서 감고 올라가는 넘, 청개구리 빨판처럼 짚고 올라가는 넘도 있다.
식물은 한번 뿌리를 내리면 거이 대부분 몸체를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한데 덩굴식물을 그 한계를 조금은
극복했다. 식물들의 풀지못하는 영원한 디레마는 몸을 움직이지 못해 덤벼들어 목숨을 앗아가는 적들을
물리치기 위해 화생방 물질을 더 독하게 만들어야 할까,
아니면 상대적으로 몸집을 더키워 주변 경쟁자들을 따돌리고 더높이 올라가서 햇볕을 독차지는 못하더라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수간이나 가지를 만드는데 영양분을 쓸 것인가 이다.
차라리 몸집을 가늘게 하더라도 다른 식물을 타고 올라가자고 선택할 때는 취약점도 당연히 따르게 마련
아래 열거한 몇 않되는 초,목본 덩굴식물들 중 개체를 좀더 깊이 살펴보시라,
곤충관계도살펴보시면 , 시간 낭비보다는 그 재미가 크고 안목도 더 넓어 지리라 생각합니다.
**
[가시박]
북미인 미국과 캐나다 원산 식물, 박과의 1년생 으로 환경부에서 2009년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되었다. 잎은 손바닥 모양이고 주위식물을 지지대 삼아 4~8m 까지도 자란다.
[거지덩굴]
가장자리에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해독성분이 있어 화농성, 감염증, 외상, 습진, 피부염에 민간요법으로 쓰인다.
[까마귀머루]
낙엽 덩굴나무다. 줄기는 나무에 기어 올라가거나 땅 위에 뻗으며, 길이 2~4m다.
어린가지는 능선이 있고, 붉은 갈색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6~10cm다. 갈래는 다시 갈라진다.
잎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회색이 도는 갈색 솜털이 많다.
남해안이나 제주에 자생한다.
[노박덩굴]
열매가 화살나무나 회나무 열매처럼 예쁜 노박덩굴은 낮은 산이나 들판 구릉의 나무 밑
그늘에서 잘 자람니다.
한방으로 사용되는 부분은 열매로 잘 말려 볶은 다음 가루를 내어 생리통에 효과를 볼 수
있고 그외에 사지마비, 관절염증, 바이러스성 전염병에도 좋은데 과용하면 해롭습니다.
[능소화]
[다래나무]-진다래
[다래나무]-개다래
열매가 많이 열린다고 다래로 됐다고, 즉 우리 선조들의 먹을 거리였습니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연조자라고 부르며 비타민 A,C 그리고 단백질 유기산이 풍부합니다.
잎과 뿌리는 당뇨병, 황달, 관절염, 소화불량에 좋다고 봄되면 싹을 따로 산에 억수로 갑니다.
진다래는 꽃이 좀 일찍 핍니다. 그래서 늦여름에 남는 것들은 대부분 개다래입니다.
그리고 암수 딴그루라 창경궁, 창덕궁에 있는 천연기념물 다래는 열매를 열리지 않아요.
[단풍마]
단풍마는 아직도 산에 가면 많이 볼 수 있습니다만 몰라서 못 채취하는 것 같음
잎이 마른 후 열매를 보면 참마하고는 열매 달린 모습니 다름니다.
달리기 많이 하는 분들에게는 매우 좋은 식품입니다.
[참마]
[담쟁이]
[더덕넝굴]
두해살이 풀로 초롱꽃과에 속한다. 주로 산에서 자생하지만 최근에는 산에서는
오래된 더덕을 얻기는 어렵다.
더덕 뿌리는 독특한 향과 쌉싸름한 맛이 인삼과 비슷하면서도 다른데, 뿌리 쪽에 사포닌이 많아
효능도 인삼과 비슷하다. 한약방에서는 양유근이라는 이름으로 취급한다.
[등나무]
[마삭줄]
숲에서 해설하시는 분들도 마삭줄을 모르시는 분들이 있다. 마삭은 용담목 협죽도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잎은 마주나기로 타원형에 가까우며 윤이나고 뒷면에 털이 있다
[만삼]
만삼은 초롱꽃과 더덕속에 속하는 만삼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강원도 이북의 심산지역,
지리산에 분포하며 주로 깊은 산속에서 서식한다.
만삼의 효능 만삼은 야생에서는 해발 800m 이상 고지대에서 볼 수 있다. 약초산행시 눈보다
코가 먼저 알아차리는 대표적인 약초가 만삼이다. 더덕 향과 비슷하지만 훨씬 강하고
매력적이다.
뿌리와 줄기 잎 전체에서 풍기는 향은 주변풍경마저 황홀하게 하지요. 뿌리는 길고 가늘어
채취가 쉽지 않다.
[며느리밑씻개]
[민청가시나무]
[밀나물]
청미래덩굴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잎은 어긋나기로 나며 긴타원형이나 난형이다.
설악산 3부능선에 군락지를 많이 보았다. 경기 강원접경지대에도 많이 자생한다.
밀나물과 선밀나물의 구별 방법은 밀나물은 선밀나물에 비해 덩굴성이고 가지를 치며
덩굴손이 있고 줄기 위쪽의 잎일수록 잎자루가 짦은 점이 다르다
[박주가리]
박주가리는 적.백으로 말이 많치만 하수오하고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생각하시길,
하수오와 잎을 잘 비교하셔야 합니다. 잎과 잎자루가 만나는 부분에 심장(하트)모양으로
들어간 부분이 뚜렸하게 보입니다. 하수오 약초는 따로 찾아 보시면 됩니다.
박주가리는 잡초입니다.
[사위질빵]
[새머루]
중부 이남의 산기슭에 흔히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다.
나비 5-8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어린 나무의 것은
까마귀머루처럼 갈라지기도 한다.
[ 산머루 ]
[새삼 넝굴]
[선밀나물]
[송악]
[시계꽃]
[여우팥]
[여주]
[하늘타리]
[으름나무]
[으아리]
[멀꿀나무]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덩굴나무로 주로 전남 남부, 서해안 섬, 제주도 제주도에 자생
작은잎은 5~7개 모여 달리고 잎은 어긋나기 길이는 15m 정도 뻗는다.
[새모레넝굴]
한방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쓰는데, 인후염, 편도선염, 사지마비, 관절염, 복통, 이질, 장염에 효과가 있다.
한국, 중국, 시베리아 동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심장상 원형이고 대개 방패 모양이다.
길이는 5~13㎝, 폭은 5~13㎝이다.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지만 3~5갈래로 얕게
갈라지기도 하는 등 모양의 변이가 심한 편이다. 잎자루는 방패처럼 잎 뒷면의 배꼽 지점에 붙는다.
잎자루가 잎 뒷면에 붙는 부분에 흰색 털이 있다.
**
참고자료
우리나무 비교 도감 박승천 2021 우즈워커
우리나라 나무 이야기 박영하 2003 도서출판 이비컴
나무 쉽게 찾기 윤주복 2004 진선출판사
2019.2.08
2024.3.12
한바다
'삶과 나 > 동 식물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목본 덩굴식물 climbing plant 3-3 (2) | 2024.03.12 |
---|---|
초 목본 덩굴식물 climbing plant 2-3 (0) | 2024.03.12 |
초봄에 피는 꽃과 전설 (0) | 2024.03.03 |
귀여운 야생동물 겨울나기 (3) | 2023.12.09 |
진화적 측면에서 본 공룡의 후예(새)들의 짝짓기 (3) | 202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