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나/미술 관련

추상화의 선구자, 힐마 아프 클린트

haanbada 2023. 6. 1. 00:27

**

altarpiecs griop x 1915

 

**

*

힐마 아프 클린트는 현대미술사에서 이루어진 재발견 중 가장 중요한 사건의 당사자였다.

2018년 뉴욕 솔로몬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열린 ‘힐마 아프 클린트 회고전’은 개관 이래

최다 관객수인 60만명을 기록한다.

교과서에도 미술사 책에도 나오지 않는 화가의 전시장에.

전시 도록은 미술관에서 가장 많이 팔린 도서가 됐다.

2019년부터는 아프 클린트의 그림이 뉴욕 현대미술관의 신소장품 전시관에

대여 작품 형식으로 전시되며 미술사의 아웃사이더가 일약 스타로 도약했다.

칸딘스키, 몬드리안, 말레비치보다 추상화를 먼저 시작한 스웨덴의 여성 화가,

힐마 아프 클린트는  그전까지 기존 미술사에서 철저하게 배제되어 있었다.

아프 클린트의 이례적인 그림은 미술관을 찾아온 미래 세대에 의해서야 널리

공유되고 퍼졌다.

많은 질문이 이어졌다. 이 여성 화가를 움직이게 만든 동기는 무엇인가?

그녀가 달성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인가? 

 

우선 우리에게 잘 알려진 바실리 칸딘스키(1866~1944)의 작품, <구성8>을 보자

 

구성8 1923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우선 화면 가득 뭔가 리드미칼하게 떠다닌다.

일전에 TV에서 명화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또 음악을 그림으로 표현되는

것을 본적이 있는데 명화와 명곡은 서로 통하는 것 같았다.

1895년 모스코바 인상파 전시회에서 모네의 작품을 보고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자신을 돌아 본 것이 계기가 되어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기분, 느낌, 그리고

의미 같이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하는 비구상의 세계로 들어 간 것이 1906년이 었다.

이 작품은 색과 점, 선 , 면 등을 음표처럼 써서 그린 그림으로 그린 음악이다.

서로 연관성이 있는 형체들이 자유롭게 떠돌아 다니며 율동감을 느끼게 하면서

한편의 교향곡을 들려주는 것 같다.

 

"내 그림들은 내가 죽어도 20년간 세상에 알리지 말아줘"

1944년 10월 21일 82세의 한 여인이 이와같은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힐마 아프 클린트의 유언에 따라 그녀의 모든 그림은 조카인 스웨덴 해군 중장

에릭 아프 클린트 제독에게 상속되었습니다.

그리고 조카는 고모의 유언을 성실하게 이행했습니다.

에릭은 고모의 그림을 누구의 손도 닿지 않게 안전하게 보관했고,

20년이 지난 후 밀봉됐던 상자들이 열렸습니다.

 

힐마 아프 클린트(1862.10~1944.10. 국적 스웨덴)는 평생 보이지 않는 세계를

그렸다.

그녀와 친했던 여동생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클린트는 더욱 영적 세계를 탐구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우리가 사는 세계와는 다른 세계에 영혼들이 존재를 믿었기 때문,

그녀는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현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았고,

말할 수 없는 것을 그렸다

특히 죽은 여동생을 만나고 싶은 마음을 갖고 만남을 꾸준히 노력하며 그 과정을

드로잉으로  기록했다고 한다.

아프 클린트가 그린 것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현실에 속하지 않았습니다 ,

보이지 않는 세계와 만날 수 없는 존재도 만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가득 찬 그림 

그래서 그녀는 자신의 그림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 대신 다음 세대를 택하게

된 것이었다.

 

 

* the evolution no.7 1903년

 

 

 

* what a human being is   1910

 

 

 

 

*  the ten largest  no.1  1907년

 

 

 

추상의 개념조차 없던 시대에 추상화를 실험했던 여성화가 크린트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최근에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10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수많은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열광을 불러일으키고있다.

그녀의 그림은 미래의 관객을 위한 그림이었던 것이다.

적어도 칸딘스키가 먼저 발표는 했지만 이미 5년 앞서 클린트는 추상화를 그렸다는

사실은 미술사에 적시해야 된다.

 

참고로  관계화가의 동영상을 첨부한다.

 

* 바실리 칸딘스키의 <구성 8>

 

 

 

* 힐마 아프 클린트의 <  altify>

 

 

 

이 상

 

    

**

참고서적   

하루 한 장, 인생그림  2023 이소영  (주) 알에이치 코리아

2023.5.31.   한바다

'삶과 나 > 미술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감상  (0) 2023.10.14
긍재 김득신의 작품 감상하기  (0) 2023.06.04
구스타프 클림트의 미술세계  (3) 2023.05.11
한옥 감상  (1) 2023.03.21
석파 이하응의 묵란세계 감상  (0) 202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