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에는 300여종의 바닷말이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 다도해, 제주도 연해에
자란다. 대부분 맨눈이나 현미경으로 쉽게 볼 수 있으며 현미경으로 만 볼 수 있는
종류도 있다.
육상 식물처럼 염록소를 가지고 괄합성을 하는 바닷속 식물의 대명사라 할 수 있다.
몸빛에 따라 녹주류, 갈조류, 홍조류로 분류하며 바닷말류에는 염록소 외에 갈색과
붉은색의 보조 색소가 있다.
녹조류에는 40여 종이 있으며, 갈파래와 청각은 음식으로 먹거나 약품의 원료로도
쓰이고 있다. 갈조류는 80여 종이 있으며 이들은 옛날부터 식용, 사료, 거름, 약품의
원료로 써왔으며 특히 감태는 전복 양식에 훌륭한 사료가 된다.
홍조류는 170여 종이 있는데 이 중 김과 우뭇가사리가 대표 종으로 알려져 있다.
*
1.녹조류
수심이 가장 낮은 곳에 분포하는 바닷말류군이며 차래, 청각, 크로렐라 등이 있다.
생식방법이나 엽록체의 구조, 광합성 능력 등으로 볼 때 바닷말 중에서 가장 진화된
분류군이다.
A. 파래
녹조류 중 가장 대표적인 파래는 파란색에서 우래한 이름이다.
이들은 강인한 생명력과 적응력으로 열대지방에서 부터 극지방에 이르기꺼지 자라지
않는 곳이 없다. 적응력이 워나 강하다 보니 김 양식장을 위해 쳐둔 김맡에 달라붙어
김양식을 망치기까지 한다고 한다.
파래가 많이 함유된 김을 파래김이라 하는데, 일반 김보다 하품으로 유통된다.
B. 매생이(초록실목/과 > 매생이속)
파래 처럼 생긴 녹조류 중 하나, 짙은 녹색을 띠고 있다. 길이는 15cm 굵기는
2~5mm까지 달한다.
철분과 칼슘, 칼륨 등이 풍부해 빈혈에 도움을 주고 뼈를 튼튼하게 한다.
짙은 녹색의 머리카락 보다 더 가는 뭉치 때문에 거부감도 있지만 향과 맛이 좋아
매생이국을 끊여 먹거나 칼국수나 떡국을 만들어 먹는다.
바다 내음이 굉장히 진하며 한 입 삼키면 목구멍 안으로 부터 진한 바다 내음이 오라온다.
C. 옥덩굴
한국이나 일본 해역에서는 기본적으로 침략종으로 본단다.
보통 이종이 우점해 버리면 다른 토종 해초들이 밀려나게 때문이라고,
암초대의 암반이나 여 위에 양탄자나 잔디처럼 자리잡는다.
일본에서는 바다포도라 하여 고가에 팔린다고 한다.
옥덩굴은 마치 포도 같은 알맹이가 맺혀있는 모양을 하고 있고 전체적으로 초록색을 띄고 있으며,
날치알이 톡톡 터지는 것 같은 재미있는 식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산지인 오키나와에서는 사람에게 이로운 성분들이 많이 함유된 식재료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는 바다포도(Sea Grapes), 서양에서는 그린캐비어(Green Caviar)로 불리는 해조류이다.
특히 철분, 식이섬유, 칼슘, 비타민 등이 풍부하여 당뇨, 고혈압, 피부미용, 뼈건강, 면역력 증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저칼로리식품으로 다이어트 효과까지 있는 것으로 밝혀져 국내에서는
최근 새롭게 각광받는 해조류이다
D. 청각
1.5~3mm 굵기에 길이는 10-30cm에 이르며 전체적으로 모양이 사숨뿔을 닮았다.
부드럽고 탄력있느 모체는 검푸른색이며, 맛과 향이 신선해 예부터, 김치를 담글 때 넣으면
젓갈 등에서 나는 비린내가 중화되 뒷맛이 개운하다
파래과의 해조. 청각은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건강식품으로서 칼슘과 인이 풍부하며
다른 해조류에 비해 철분이 많아 빈혈 예방에도 좋다
2. 갈조류
녹조류 보다는 깊은 물속에서 자라며 비교적 크기가 커서 바다숲을 이룬다.
바닷숲은 바다생물이게 안식처를 , 인류는 여러가지 유익한 부산물을 제공한다.
황갈색 또는 흑갈색이 납니다.
차가운 바닷물인 한류에 많아요.
갈조류에는 다당류로서 알긴산, 후코이단,라미나란 등
몸에 좋은 성분이 많아요.
갈조류는 요오드, 칼륨, 등 무기질의 함량도 놓습니다.
먹을 수 있는 식품으로는 미역, 다시마, 톳, 감태,모자반, 녹미채 등이 있어요.
A. 미역
한국과 일본에만 자란다. 1년생 갈조류의 해초이다.
깊이가 1~3m 정도되는 한국 전연안의 조간대 하부에서 번성한다.
식물체는 1m 이상 자라며 뿌리·줄기·잎의 분화가 뚜렷하다.
뿌리 부분은 나뭇가지 모양처럼 갈라져 바위 위에 단단히 붙고
여기서 납작한 줄기가 나오며, 중간 부분에서는 이 줄기가 중앙맥[中肋]이 된다.
잎은 중간 부위에서 양쪽으로 길게 날개 모양으로 갈라져 나온다.
포자엽은 줄기의 아래쪽과 뿌리 부분 사이에서 양쪽으로 주름이 생긴다.
자라는 지역에 따라 잎의 형태에 차이를 보인다.
흔히 따뜻한 곳에서는 잎이 매우 얕게 갈라지고 포자엽의 주름이 적게 생기지만,
추운 곳에서는 깊게 갈라지고 포자엽에 주름이 많다.
미역은 옛날에는 여러 포기를 겹쳐서 길이 약 2m x 넓이 약 15cm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
햇볕에 건조시켜 보관, 저장하였다.
특히 미역은 칼슘 함량이 많고 흡수율이 좋아 산모들이 애용했는데 섬유질도 많아 변비
예방에도 효과가 있어 임산부에게도 좋은 해초다.
미역 성장은 수온에 따라 영향을 받아서 날씨가 추운 계절에 수확하는데 지금도
어린시절 갯가(해안)에 모닥불을 피워놓고 무겁게 따온 미역 머리부분(미역귀)을 구어
먹던 기억이 새롭다.
B. 다시마
다시마는 지구 상 최초의 풀이라 하여 초초(初草)라고도 한다.
낭류성 해조류인 미역과 달리 한대와 아한대에서 자라는 아한대성이지만 최근에는
양식 등을 통해 전국 연안으로 서식지가 넓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어릴적 제주해안에서는 별로 본 적이 없다는 생각이다.
다시마는 미역과 마찬가지로 요오드와 알긴산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데다
미역 보다 나트륨이 적어 고급 식품으로 대접을 밭는다.
전초는 잎, 줄기, 뿌리 3부분으로 니루어져 있다. 잎은 띠 모양으로 길고 가운데가
약간 두툼하며 양 가장자리는 쭈글쭈글하다. 잎은 길이 2~4cm, 정도로 황갈색 또는
흑갈색을 띠며 미끌미끌하다. 둥그런 기둥 모양의 줄기는 위로 고추서며, 아래가
2갈래로 계속 갈라져 기근이 되어 식물체가 움직니지 않게 붙들어 준다.
C. 톳
톳은 칼슘, 요오드, 철 등 각종 미네랄 영양성분이 풍부한 해조류로, 제주와 서남해안에서 주로
생산되며 과거 식량이 부족했던 보릿고개 시절에 곡시과 함께 주요 식품역활을 했다.
특해 제주에서는 대소사에 많이 사용됐다 돼지고기(돗고기)에 밀가루를 조금 섞어 꿇인 국은
일품이었다. 톳의 철분 함량은 시금치의 3~4배에 달해 빈혈증세가 있는 사람이나 임산부에게
좋으며 칼슘 함량은 우유의 15배 높아 어린이 성장 발육에 특히 좋다고 한다.
D. 서실
홍조식물 빨간검둥이과의 바닷말. 조간대(潮間帶) 바위에 붙어 산다.
식물체는 조그만한 각상근(殼狀根)에서 곧게 서는 줄기가 기는뿌리처럼 휘어져 눕는다.
원주 모양을 하거나 약간 편압(扁壓)되고 높이 10∼20cm 자라며 굵은 줄기는 나비 2∼5mm이다.
가지는 각 방향으로 어긋나고 불규칙한데, 작은가지의 끝은 뭉툭하다.
E. 모지반
대표적인 해초의 한 종류로 입맛 없을 때 별미로 좋습니다.
겨울철 별미 먹거리 모자반으로 무침이나 국을 끓여먹는다. 캴슘이 풍부합니다.
어릴적 결혼식날에 끊여먹던 모자반 돼지고기 장국이 생각난다.
국내 연안에서 간조시에 몸의 일부분이 수면에 부표하는 것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가장 흔한 해중림 구성 종이다. 어린 개체는 식용하며, 봄철에 암반에서 탈락되어
뜬말의 형태로 연안에 떠다니며, 꽁치의 산란처 및 다양한 해양생물의 은신처 역할을 한다
F. 곰피
경상북도 울릉군 영안에서 서식하고 있는 다시마목 미역과의 여러해살이 해조류로
성체의 줄기 길이는 30cm~ 1m, 널이 5~30cm, 굵기는 3~5mm이다.
11월부터 이듬해 가을에 걸쳐서 자란다.
3. 홍조류
바닷말류 가운데 가장 종류가 많으며 4,000여 종이 있다. 김, 우뭇가사리 등이 대표종이며
갈조류 보다 서식 변화가 넓다.
홍조류는 난류, 한류 모두에서 서식합니다.
먹을수 있는 것은 꼬시래기, 가시리, 우뭇가사리(한천) 등이 있습니다.
해인초는 구충제로 쓰인다.
A. 우뭇가사리
얕은 수상에서 깊은 수심에 이르기까지 서식하는 우뭇가사리는 흔한 해조류다.
홍조식물문 우뭇가사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바닷말로 한반도 전 바다에 분포하지만
동해 남부 연안의 것이 품질도 좋고 생산량도 많다.
묵을 만들어 먹거니 한천으로 제조해 식물 무균배양에도 거이 전적으로 많이 쓴다.
(전초를 말린 다음 이것을 끊여서 나오는 물을 건조시킨다.투명에 가깝다.)
우뭇가사리라는 이름은 생김새가 소의 털과 흡사하여 우모초라 불린 것이 그 유래가 된다고 한다.
최근에 와서는 우뭇가사리가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 다량의 식이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우무는
소화기관에서 흡수되지않고 포만감 만을 주어 다이어트에 적합한 웰빙식품으로 대접을 밭고
있기 때문이다.
물이 잘 흐르고 파도가 치는 바위 위에 군락을 이루고 자란다.
여름에 번식하는데 번식기가 지나면 본체의 상부는 녹아 없어지고 하부만 남았다가 다음해 봄에
다시 새싹이 자라난다.
B. 김
홍조류 보라털과의 조류. 몸의 길이는 30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나 주름이 져 있다.
검은 자주색 또는 붉은 자주색을 피고 바닷속 바위에 이끼처럼 붙어 자라는데 식용한다.
우리나라의 서남 연안에서 많이 나며 널리 양식한다.
설명 생략
C. 비단풀
**
2019.9.10. 한바다 (2023.3.1. 정리)
참조서적
바다생물 이름 풀이 사전 2008년 박수현 지성사
바다에서 건진 생명의 이름들 2019년 박수현 지성사
'삶과 나 > 동 식물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서류 중 개구리에 대해 (1) | 2023.03.16 |
---|---|
한국의 잠자리 (0) | 2023.03.10 |
잘피(거머리말) (2) | 2023.03.01 |
일부다처형 참새목 새의 번식과 양육 (0) | 2023.03.01 |
아쿠아 비바리움 시대 (0) | 2022.11.12 |